최프로의 유튜브 영상으로 학습하세요
Make 사이트
실습하기 : 콘텐츠 생성 자동화
Step 1. 시나리오 만들기 (Create Scenario)
•
업무 자동화를 위해 트리거(A)와 액션(B)으로 구성된 시나리오를 작성합니다. 시나리오란 A일 경우 B를 하라는 조건의 연속입니다.
•
우리는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에 따라 자동화를 합니다.
◦
구글 시트에 새로운 주제 입력이 발생하면 (New Rows)
◦
제미나이를 활용해서 해당 주제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 (Create a Completion)
◦
작성된 글을 구글 독스에 등록합니다 (Create a Document)
Step 2. Google Sheets 읽어 오기 (Watch New Rows)
처음 사용이라면? (Create a Connection)
•
팝업창 입력
◦
Search Method : 경로를 통해 찾기 입력 (Search by path)
◦
Spredsheet ID :
▪
읽어올 구글 시트 파일의 경로 및 파일까지 등록해줍니다.
◦
Sheet Name
▪
문서 중 내용이 입력된 시트를 선택합니다.
◦
위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사항은 그대로 두고 Save를 클릭한 뒤 all을 선택.
Step 3. Gemini로 글쓰기 (Create a Completion)
처음 사용이라면? (Create a Connetction)
왜 굳이 실습에서 제미나이를 사용하나요?
•
제미나이의 경우 현재 기준 1.5 플래쉬 버전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
챗GPT, 클로드 등의 AI API를 사용하려면 유료 사용과 별개로 충전이 필요합니다
•
제미나이 사용으로 익숙해지면 다른 AI를 사용해 보세요.
•
팝업창 입력
◦
AI Model
▪
Gemini 1.5 Flash를 입력합니다.
◦
Message (Add Item 클릭)
▪
Role : User 선택
▪
Parts
•
Message Type : Text
•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
예시) [주제] 에 대해 1000자 이내의 블로그용 글을 작성해줘.
Step 4. Google Docs에 등록하기
•
앞서 구글 시트를 읽어 오는 과정에서 이미 계정 연동을 했기 때문에 별도의 연동 과정은 필요 없습니다.
•
팝업창 입력
◦
Name
▪
구글 독스의 파일명입니다.
▪
따로 지정할 수도 있지만 앞서 구글 시트에 입력된 ‘주제’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
Content
▪
구글 독스의 문서에 입력될 내용입니다.
▪
제미나에서 작성한 결과 (Result)를 가져 옵니다.
◦
New Document’s Location
▪
구글 독스가 등록될 경로를 지정합니다.
Step 5. 실행
•
하단의 Run Once 클릭.
◦
이때 구글 시트를 읽어 오는 조건이 New Rows기 때문에, 테스트 과정에서 실행을 한 적이 있다면 새로 구글 시트를 한 줄 추가합니다.
◦
완성되면 반드시 저장을 클릭합니다.
•
정기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스케줄러를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