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과정

히틀러에 붙이는 주석

1. 책에 대한 총평과 가장 인상 깊은 부분.

히틀러에 붙이는 주석은 어떻게 읽으셨나요? 책을 읽기 전과 후 히틀러나 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역사에 대해 달라진 생각 등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요?

2. 히틀러가 여러가지 결핍이 있었음에도 기적적인 ‘업적’을 쌓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절정기에 ‘90% 이상이 이런 총통의 신자들’이 된 것은 선전술이 아니라 업적 때문이었다고 말합니다. 결국 경제 기적과 군사 기적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렇다면 그것을 이뤄낸 가장 큰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히틀러의 기여? 파괴적 혁신? 아니면 그저 주변 상황에 따른 어부지리 때문일까요?

3. 1938년 히틀러가 암살 됐다면 ‘베를린의 봄’이 올 수 있었을까?

히틀러가 1938년 말 암살의 제물로 쓰러졌더라면 가장 위대한 독일 정치가들 중 한 명, 또는 독일 역사의 완성자였다고 부르기를 망설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공격적인 연설과 나의 투쟁, 반유대주의, 세계지배 계획 등은 어쩌면 초기의 공상으로 여겨져 잊혔을 것이다....... 6년 반의 시간이 히틀러에게서 이 명성을 떼어놓았다.
페스트의 말처럼 만약 히틀러가 1938년에 암살 됐다면 그는 위대한 정치가로 기억될 수 있었을까요? 아니면 저자의 지적대로 ‘나 아니면 카오스’가 되어 이후의 독일은 혼란이 지속 되었을까요? 1979년~80년 사이 대통령이 암살 되고 혼란과 기대가 섞여 있던 우리나라의 상황(서울의 봄)과 비교해 보면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요?

4. 영국의 초기 유화정책은 필요한 전략이었을까? 아니면 실기가 됐을까?

이 책을 읽다 보면 영화 ‘Darkest Hour’의 내용들이 좀 더 잘 이해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독일과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길 바라는 다수에 맞서는 처칠의 이야기가 나오죠. 영국이 초기에 히틀러와 독일의 확장을 용인하고 가려던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까요? 영국과 프랑스가 초기에 함께 대응했다면 다른 결과가 있었을까요?

5. 오늘의 세계에 히틀러가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참고할 작품 <높은 성의 사나이>
토탈리콜, 마이너리티 리포트, 블레이드 러너 등의 저자인 필립 K 딕의 책을 원작으로 하는 ‘높은 성의 사나이’(프라임 비디오)는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승리한 가상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은 독일과 일본이 나누어서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죠.
The Man in the High Castle Season 1 - Official Trailer: What If? | Prime Video
‪What If We Lost‬? Exec. Producers Ridley Scott & Frank Spotnitz bring their epic vision of The Man in the ‪High Castle‬ to Prime Video. » Watch The Man in the High Castle now exclusively with your Prime membership: http://bit.ly/AmazonManInTheHighCastle » SUBSCRIBE: http://bit.ly/PrimeVideoSubscribe About The Man In The High Castle: Based on Philip K. Dick's award-winning novel, and executive produced by Ridley Scott (Blade Runner), and Frank Spotnitz (The X-Files), The Man in the High Castle explores what it would be like if the Allied Powers had lost WWII, and Japan and Germany ruled the United States. Starring Rufus Sewell (John Adams), Luke Kleintank (Pretty Little Liars), and Alexa Davalos (Mob City). About The Man In The High Castle Season 2: After giving Joe the film, Juliana is forced to flee the fury of the Resistance while embarking on a new path to save her home from destruction. Joe confronts his absent father in Berlin, who is not as he seems. Smith wrestles with what to do about his ill son. Frank takes a gamble with his life in a bid to save Ed. Tagomi's life is turned upside down by his "travel" to an alternative world. Get More Info About The Man In The High Castle: Watch Seasons 1 & 2 Now: http://bit.ly/TheManInTheHighCastlePrimeVideo Facebook: https://www.facebook.com/HighCastleAmazon/ Twitter: https://twitter.com/HighCastleTV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HighCastleAmazon/ About Prime Video: Want to watch it now? We've got it. This week's newest movies, last night's TV shows, classic favorites, and more are available to watch instantly, plus all your videos are stored in Your Video Library. Over 150,000 movies and TV episodes, including thousands for Amazon Prime members at no additional cost. Get More Prime Video: Watch Now: http://bit.ly/WatchMorePrimeVideo Facebook: http://bit.ly/PrimeVideoFB Twitter: http://bit.ly/PrimeVideoTW Instagram: http://bit.ly/AmazonPrimeVideoIG The Man in the High Castle Season 1 - Official Trailer: What If? | Prime Video https://youtu.be/hzz_6dmv03I Prime Video https://www.youtube.com/PrimeVideo
이 책의 뒷표지에 나와 있듯 '좋든 싫든 오늘 이 세계는 히틀러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에 동의하신다면 오늘날의 세계에서 가장 그의 영향이 크게 미친 요소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만약 히틀러가 아니었다고 해도 오늘날의 세계는 지금과 같을까요 아니면 다르게 바뀐 것들이 있었을까요?

6. 히틀러의 ‘유대인 멸종 정책’이 ‘유럽 지배 목표 실현’에 미친 영향은 어떠했을까?

실수
1.
정치가 히틀러는 이런 강령에 따라 처음부터 두가지 전혀 다른 목적을 추구했다. 한편으로는 유럽에 대한 독일의 지배 권, 다른 한편으로는 유대인 '치우기', 이 말로 그는 멸종을 표현했다. 하나는 다른 하나와 전혀 상관이 없다. 이 두 가지 의도는 서로 방해가 되기까지 한다.
2.
그리고 독일의 유대인들은 20세기의 처음 33년 동안 지성과 문 화 영역에서, 그리고 과학과 경제에서도 처음으로 영국과 프랑스를 분명히 앞지르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웠다.
저자는 히틀러가 두개의 전선을 만들 듯이 (실제로 히틀러는 그렇게 했지만) 두개의 큰 관계 없는 목표를 이루려고 했다고 말합니다. ‘유대인 멸절’과 ‘유럽 지배’죠. 특히 유대인을 적으로 돌림으로써 '유럽을 지배하는 목적'까지 어려워졌다는 뉘앙스(아쉬움?)도 느껴집니다. 유대인 멸종 정책 때문에 유럽(혹은 세계) 지배는 실패 했을까요?

7. 미국에 대한 선전포고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 시점에서도 나는 역시 얼음처럼 차가워요 도이치 민족이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스스로 피를 흘릴 만큼 충분히 강하고 또 희생 의 각오가 되어 있지 않다면 이 민족은 스러져서 더욱 강한 다른 세력 에게 파괴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나는 도이치 민족을 위해 단 한 방울의 눈물도 흘리지 않을 것이오." 무시무시한 말이었다.
히틀러는 정말 독일인들에게 벌을 내리려고 한 것일까요? 자신의 계획이 실패한 후 자살을 했듯이 독일도 함께 사라지길 원한 것일까요?

8. 추축국은 왜 연대하지 못했을까?

우리는 2차 세계대전을 연합국과 추축국 간의 전쟁으로 알고 있지만 추축국(독일, 이탈리아, 일본)들은 견고한 연대를 보이고 있지는 않습니다. 2차 세계대전이라고 알고 있는 전쟁은 사실 <태평양 전쟁>, <독소전쟁>, <중일전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죠. 독일과 일본, 그리고 이탈리아가 더 적극적으로 연대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요?